-
Macbook Pro
- CPU : Apple Silicon(M1)
- RAM : 16 GB
- SSD : 512 GB
-
Mac Mini
- CPU : Apple Silicon(M1)
- RAM : 16 GB
- SSD : 256 GB
-
Keyboard
-
Mouse
-
External Moniter
- LGE 32UN650 (4K, 60Hz, UHD)
-
Hub
-
Magnet : 윈도우에서는 화면 분할을 지원하지만, 맥에서는 윈도우에서처럼의 화면 분할이 자유롭지 못합니다. Magnet은 화면분할을 윈도우처럼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- Magnet 대신 무료앱인 Rectangle도 있습니다(웹에서 다운로드).
-
Run Cat : 상단바에 CPU 점유율에 따라 뛰는 고양이가 생깁니다
-
Hidden Bar : 상단바에 정보가 너무 많은 경우, 일부 숨겨주는 앱입니다
-
Good Note5 : iPad에서 필기한 내용을 보기위해 설치했습니다
-
XCode : 취미로 가끔 Swift 해볼때 사용합니다
- Editor
- Jetbrains
- IntelliJ Ultimate
- Pycharm Professional
- Goland
- WebStorm
- CLion
- Jetbrain Toolbox
- Visual Studio Code
- XCode
- Jetbrains
- Messenger
- Slack
- Discord
- Virtualize
- Docker Desktop
- Podman Desktop
- SQL
- Table Plus
- API Testing
- Insomnia
- Postman
- ETC
- Notion
- Neovim
Visual Studio Code extension 일괄 설치하기
bash VS-Code-Config/extension.sh
Brew extensions 일괄설치
HomeBrew 설치 이후에 가능합니다
brew bundle --file=./Brewfile/Brewfile
- 주의 : 일괄 설치에 포함된 java는 intel 버전의 jdk가 설치됩니다(Adopt Open JDK). 만약 m1 네이티브 jdk를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이 링크 에서 네이티브 jdk를 다운로드해주세요.
1,2,3,4의 과정은 src/homebrew.sh에 위치한 스크립트를 실행하여도 괜찮습니다. 단 초반 설치시 설치과정에서 2번의 상호작용이 요구됩니다.
- Homebrew 설치하기
- Homebrew란 Mac OS에서의 패키지 관리자입니다. 우분투에서
apt
, CentOS 혹은 RHEL 에서yum
이 있듯이 말이죠.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echo '# Set PATH, MANPATH, etc., for Homebrew.' >> /Users/$(whoami)/.zprofile
echo 'eval "$(/opt/homebrew/bin/brew shellenv)"' >> /Users/$(whoami)/.zprofile
eval "$(/opt/homebrew/bin/brew shellenv)"
- Oh-My-ZSH 설치하기
-
Mac OS의 기본 Shell은
ZSH
입니다. 이는 Mac OS 10.15인 Catalina 기준으로 변경되었습니다. -
ZSH의 장점에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
- 가독성 증가
- 자동완성 기능
- Git status 확인하기 좋음
- 경로 추정 가능
- Bash와의 호환성
-
Oh-My-ZSH는 ZSH에 추가적인 기능을 붙일 수 있는 기능을 하게끔 해주는 플러그인입니다. 설정에 따라 터미널 가독성을 높일 수 있고, 그에따른 생산성 또한 높아집니다.
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.com/robbyrussell/oh-my-zsh/master/tools/install.sh)"
- Iterm2 설치하기
- Iterm2 또한 터미널 애플리케이션중 하나입니다. 기본 터미널보다 더 다양한 플러그인, Key Binding을 지원하며 무엇보다 기본 터미널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tty분할 기능도 지원합니다
brew install iterm2
-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Launchpad에 Iterm2 애플리케이션이 생성되었을겁니다.
- zshrc 설정변경하기,
-
아래와 같이 설정해 주기위해서는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합니다
-
ZSH 설정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야합니다. 이 명령어의 의미를 조금 알려드리자면,
open
은 Mac OS에서 파일을 열거나, 해당 디렉토리를 Finder로 열 수 있게 해주는 Mac OS 명령어입니다.(매우 유용합니다)~
는 Mac OS를 로그인한 사용자의 Working Directory를 의미하고,.zshrc
는 ZSH 설정파일을 의미합니다. 다만.zshrc
파일은 그냥 보이지 않습니다. UNIX/Linux 계열에서.
으로 시작하는 파일 및 디렉토리들은 모두 숨김처리가 됩니다. 숨김파일을 보기 위해서는command + shift + .
을 눌러줍니다. 그러면 아래 사진과 같이 숨김처리된 디렉토리나 파일이 보입니다.open ~/.zshrc
-
자 이제 ZSH 설정파일을 엽니다. 그 다음 아래와 같이 ZSH_THEME을
agnoster
로 변경해줍니다.command + S
로 변경을 저장해주고 Iterm2를 껏다 켜줍니다
- Font 설치 "여기서부터는 Iterm2로"
-
폰트는 기본 폰트를 사용해도 좋습니다. 다만, 가독성을 위해 다른 폰트를 사용하기도 합니다. 저같은 경우, 세가지를 선호합니다.
-
Hacker Font(Mac 기본용) : https://sourcefoundry.org/hack/
-
Naver D2 Coding(Mac 기본용, 현재사용중) : https://github.com/naver/d2codingfont
-
Fira Code(Visual Studio Code용, 연산자 기호 가독성을 높여줌) : https://github.com/tonsky/FiraCode
-
-
폰트 설치하는법은 간단합니다. 폰트 zip 파일을 푸시고, 설치하고자하는 폰트 파일들을 모두 드래그한 뒤 클릭하시고, 설치하시면 됩니다.
- Iterm2에 적용하기
-
설치한 폰트를 Iterm2에 적용해 보겠습니다. Iterm2 Setting으로 들어가 줍니다
-
Profile - Text - Font
란에서 지정하고자 하는 폰트로 바꿔줍니다 -
주의할 점은 디폴트 터미널에서도 동일하게 폰트를 바꿔주어야 합니다.(깨짐 방지)
-
만약에 위 과정을 모두 진행했는데도, Iterm2에서 아래와 같이 물음표가 생긴다면, 아래 과정을 진행해주세요(src/iterm2crackfix.sh)를 실행해 주셔도 괜찮습니다. Iterm2를 재실행해 주시고, 그래도 안된다면, 선택한 폰트를 잠시 다른폰트로 바꿨다가 다시 사용할 폰트로 바꾸고 재실행해주세요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powerline/fonts.git --depth=1 cd fonts ./install.sh cd .. rm -rf fonts
- Iterm2 컬러 프리셋 변경하기
-
Iterm2 색상 프리셋을 변경해 줄 수 있습니다. 우선 이 링크 로 가줍니다.
-
스크롤을 하다 보면 되게 많은 컬러 프리셋이 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원하는 프리셋의 제목을 클릭해주면 아래와 같이 XML형식의 텍스트가 나옵니다.
-
우클릭을 하시고,
페이지 소스 별도 저장
을 클릭해줍니다. -
다운로드한 경로를 가면 아래와 같이
~~itercolors.txt
로 되어있을겁니다. 여기서 뒤의.txt
를 지워주시고 저장해줍니다. -
그 후 클릭을 해주시면 아래와 같이 imported 되었다는 메세지가 나옵니다
-
다시 Iterm2 설정으로 들어갑니다.
Profile - Colors - Color Preset
에서 import한 프리셋으로 변경합니다.
- 상태창 설정하기
-
필요에 따라 불필요할 수 도 있지만, PC 리소스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상태창을 추가해줄 수 있습니다
-
Profile - Session - Status barenabled
에 체크를 해주시고,Configure Status Bar
를 들어간 후 추가하고 싶은 정보를 추가하시면 됩니다. -
기본 설정은 Iterm2의 상단에 위치하지만 하단에 위치하는 법도 있습니다.
Appearance - General - Status bar location
에서 Bottom으로 변경해주면 됩니다.
-
터미널 라인 유저명 짧게 변경하기 기본적으로 터미널에서 유저 이름을 아래와 같이 표현합니다.
(사용자 이름)@(Mac~~머시기)
솔직히 많이 깁니다. 이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시 ZSH 설정파일을 열어줍니다open ~/.zshrc
). 그 후 아래에 이 코드를 복붙해줍니다.{여기는 보이고자 하는 이름을 입력해 주세요}
부분을 지우고, 터미널에서 보이고 싶은 유저 이름으로 변경해줍니다. 그리고command + S
로 저장하고, Iterm2를 재실행합니다. 그러면 다음 스텝에 있는 사진처럼 스스로 설정한 이름으로 변경됩니다.prompt_context() { if [[ "$USER" != "$DEFAULT_USER" || -n "$SSH_CLIENT" ]]; then prompt_segment black default "%(!.%{%F{yellow}%}.){여기는 보이고자 하는 이름을 입력해 주세요}" fi }
-
Fig
-
Fig는 아래 사진과 같이 터미널에서 자동완성 기능을 지원해줍니다.
-
이 링크로 가셔서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. Fig는 다운로드 후 메뉴얼에 따라주시면 됩니다.
-
다만 주의할 점이라면,
설정 - 개인정보 보호 및 변경 - 손쉬운 사용
에서 Fig를 허용해 주셔야 합니다
- Iterm2 설정값
- 폰트 : 22pt
- Transparency : 32
- Blur : 25
- Homebrew, iterm2, ohmyzsh 설치까지 해주는 스크립트입니다.
- iterm2에서 물음표가 나오면서 이미지 및 텍스트가 깨지는 경우 해결해줍니다
- 모든 경우에서 git이 .DS_Store파일들을 무시합니다.
Neovim configuration script
bash "Neovim Config/config.sh"