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Commit dc1c050

Browse files
committed
doc/ko: Update uftrace-tui.md in korean
added many in uftrace-tui.md Signed-off-by: Seoyeon Moon <moonseoyeon05@gmail.com>
1 parent f3b92bb commit dc1c050

File tree

1 file changed

+17
-17
lines changed

1 file changed

+17
-17
lines changed

doc/ko/uftrace-tui.md

Lines changed: 17 additions & 17 deletions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25,12 +25,13 @@ TUI 옵션
2525
: 출력 필드를 사용자 지정으로 설정한다. 이 옵션은 기본적으로 graph 필드를 나타낸다.
2626
설정 가능한 값은 total, self, addr 이고, 기본 설정값은 `total`이다.
2727
그런데 이 옵션이 --report 옵션과 함께 사용된다면, 이 옵션은 report 필드를 나타낸다.
28-
설정 가능한 값은 total, total-avg, total-min, total-max, self, self-avg, self-min,
28+
설정 가능한 값은 total, total-avg, total-min, total-max, total-stdv, self, self-avg, self-min,
2929
self-max, call, size 이고, 기본 설정값은 'total,self,call'이다.
3030
쉼표를 사용하여 여러 필드를 설정할 수 있고, 주어진 필드 이름이 "+"로 시작할 경우,
3131
기본 설정값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필드를 설정할 수 있다.
3232
'none' 과 같은 특수 필드를 사용하면 모든 필드를 숨길 수 있다.
3333
필드에 대한 설명은 `uftrace-graph`(1) 또는 `uftrace-report`(1)를 참고한다.
34+
"total-stdv"와 "self-stdv"의 "stdv"는 상대표준편차(RSD)를 의미하며, 함수가 여러 번 호출된 경우에만 값을 포함한다.
3435

3536
-s *KEYS*[,*KEYS*,...], --sort=*KEYS*[,*KEYS*,...]
3637
: 주어진 키를 기반으로 함수들을 정렬한다.
@@ -46,12 +47,12 @@ TUI 옵션
4647
참고한다.
4748

4849
-N *FUNC*, \--notrace=*FUNC*
49-
: 선택된 함수들 (또는 그 아래 함수들)을 출력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하는 옵션이다.
50+
: 선택된 함수들 (그리고 그 아래 함수들)을 출력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하는 옵션이다.
5051
이 옵션은 한번 이상 쓰일 수 있다. 필터에 대한 설명은 `uftrace-replay`(1) 를
5152
참고한다.
5253

5354
-C *FUNC*, \--caller-filter=*FUNC*
54-
: 선택된 함수의 호출자를 출력하는 필터를 설정한다. 이 옵션은 한번 이상 쓰일 수 있다.
55+
: 선택된 함수의 호출자만 출력하는 필터를 설정한다. 이 옵션은 한번 이상 쓰일 수 있다.
5556
필터에 대한 설명은 `uftrace-replay`(1) 를 참고한다.
5657

5758
-T *TRG*, \--trigger=*TRG*
@@ -72,8 +73,7 @@ TUI 옵션
7273
'trace' 트리거가 적용된 경우, 그 함수는 함수 크기와 상관없이 항상 출력된다.
7374

7475
-L *LOCATION*, \--loc-filter=*LOCATION*
75-
: 사용할 필터의 경로를 지정한다.
76-
이 옵션은 1번이상 사용할 수 있다.
76+
: 선택된 소스위치를 출력하도록한다. 이 옵션은 한번 이상 쓰일 수 있다. *FILTERS*를 참고하라.
7777

7878
\--no-libcall
7979
: 라이브러리 호출은 표시하지 않게 한다.
@@ -89,20 +89,20 @@ TUI 옵션
8989
일반(대기) 스케쥴 이벤트는 그대로 표시한다.
9090

9191
\--match=*TYPE*
92-
: 타입(TYPE)으로 일치하는 패턴을 보여준다. 가능한 형태는 `regex``glob`이다.
92+
: 패턴을 검사할 때 사용하는 방식을 결정한다. 가능한 형태는 `regex``glob`이다.
9393
기본 설정은 `regex`이다.
9494

9595
\--with-syms=*DIR*
96-
: DIR 디렉토리의 .sym 파일에서 심볼(symbol) 데이터를 읽는다.
97-
이는 심볼(symbol) 데이터가 제거된 바이너리 파일을 다루는데 유용하다.
98-
바이너리 파일 이름은 저장할 때와 사용할 때 동일해야 한다.
96+
: 실행 파일 대신 *DIR*경로 속 .sym파일에서 심볼데이터를 가져온다.
97+
이 기능은 컴파일 후 디버깅정보가 소실된 실행 파일 처리에 유용할 것이다.
98+
메인 실행 파일은 저장시와 사용시에 파일명이 일치해야한다.
9999

100100
공통 분석 옵션
101101
=======================
102102
-H *FUNC*, \--hide=*FUNC*
103103
: 주어진 FUNC 함수들을 출력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. 이는 선택된 함수의 자식
104104
함수들에 대해서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단지 주어진 함수들만 숨기는 기능을 하게
105-
된다. 이 옵션은 한번 이상 쓰일 수 있다.
105+
된다. 이 옵션은 한번 이상 쓰일 수 있다. 필터에 대한 설명은 `uftrace-replay`(1) 를 참고한다.
106106

107107
\--kernel-full
108108
: 사용자 함수 밖에서 호출된 모든 커널 함수를 출력한다.
@@ -126,19 +126,19 @@ TUI 옵션
126126
-r *RANGE*, \--time-range=*RANGE*
127127
: 시간 범위 RANGE 내에 실행된 함수들만 출력한다. RANGE 는 \<시작\>~\<\>
128128
("~"로 구분) 이고 \<시작\>\<\> 중 하나는 생략할 수 있다. \<시작\>
129-
\<\>은 타임스탬프 또는 '100us'와 같은 \<시간단위\>가 있는 경과시간이다.
129+
\<\>은 타임스탬프 또는 '100us'처럼 \<시간단위\>접미사가 붙은 경과시간이다.
130130
`uftrace replay`(1) 에서 `-f time` 또는 `-f elapsed` 를 이용해 타임스탬프
131131
또는 경과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.
132132

133133

134134
OUTLINE
135135
=======
136-
일반적인 경우 전체적으로 하나의 세션만 있다면 그래프 모드로 시작해서 세션의
137-
전체 함수 호출 그래프를 보여준다. 이후에 사용자 키들을 사용해서 다른 모드로
136+
전체적으로 하나의 세션만 있는 일반적인 경우 그래프 모드로 시작해서 세션의
137+
전체 함수 호출 그래프를 보여준다. 이후에 특정한 키들을 눌러 다른 모드로
138138
변경할 수 있으며 'h' 키를 사용해 도움말을 확인해 볼 수 있다.
139139

140-
현재 라인은 '>' 와 함께 반전된 색상으로 보여지며 화살표 키를 사용해 다른 위치로
141-
이동할 수 있다.
140+
현재 라인은 (아래 그림에서 '>'로 표시된 라인) 반전된 색상으로 보여지며
141+
화살표 키를 사용해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.
142142

143143
TOTAL TIME : FUNCTION
144144
> 7.548 us : (1) t-abc
@@ -187,10 +187,10 @@ TUI 창에서 다음과 같은 키들을 사용할 수 있음:
187187
* `O`: 현재 함수에 대한 편집기 열기
188188
* `c`/`e`: 직접 자식 그래프 노드 축소/확장
189189
* `C`/`E`: 모든 자식들의 그래프 노드 축소/확장
190-
* `n`/`p`: 같은 높이의 다음/이전 항목으로 이동 (그래프 모드에서)
190+
* `n`/`p`: 같은 계층의 다음/이전 항목으로 이동 (그래프 모드에서)
191191
* `u`: 부모 노드로 이동 (그래프 모드에서)
192192
* `l`: 가장 긴 실행 시간을 갖는 자식 노드로 이동 (그래프 모드에서)
193-
* `j`/`k`: 커서를 위/아래로 움직임 (vi 기능과 같이)
193+
* `j`/`k`: 커서를 위/아래로 움직임 (vi 에디터의 기능과 같음)
194194
* `z`: 현재 위치를 화면 중앙에 정렬
195195
* `/`: 탐색 시작
196196
* `<`/`P`: 이전 일치 검색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