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4 | 4 |
|
5 | 5 | ### Patch Changes |
6 | 6 |
|
| 7 | +- df8c87d: fix: rows/cols가 비어있을 때 Vue2와 동일하게 렌더링되도록 수정 |
| 8 | + - 디버그용 console.log 코드 제거 |
| 9 | + - rows/cols가 모두 비어있을 때도 테이블 구조와 총계가 표시되도록 수정 |
| 10 | + - rowAttrs가 비어있을 때 헤더에 빈 행이 추가되는 문제 해결 |
| 11 | + - Vue2의 렌더링 동작과 완전히 일치하도록 조건부 렌더링 로직 개선 |
| 12 | + |
| 13 | +## 1.1.7 |
| 14 | + |
| 15 | +### Patch Changes |
| 16 | + |
7 | 17 | - d72a22d: test: 수정된 베타 버전 증가 로직 테스트 |
8 | 18 |
|
9 | 19 | **수정된 워크플로우 검증:** |
10 | | - |
11 | 20 | 1. changeset 실행 전 베타 접미사 제거 |
12 | 21 | 2. changeset version으로 버전 증가 (1.1.6 → 1.1.7, 2.0.7 → 2.0.8) |
13 | 22 | 3. 증가된 버전에 베타 접미사 재적용 |
14 | 23 |
|
15 | 24 | **기대 결과:** |
16 | | - |
17 | 25 | - vue-pivottable: 1.1.6-beta.xxx → 1.1.7-beta.yyy |
18 | 26 | - plotly-renderer: 2.0.7-beta.xxx → 2.0.8-beta.yyy |
19 | 27 | - lazy-table-renderer: 변경 없음 (changeset 제외) |
|
25 | 33 | - d8c5bff: test: 올바른 베타 버전 증가 테스트 |
26 | 34 |
|
27 | 35 | **수정된 로직 테스트:** |
28 | | - |
29 | 36 | - changeset version의 버전 증가를 보존 |
30 | 37 | - 선택적 베타 타임스탬프 적용 (변경된 패키지만) |
31 | 38 | - lazy-table-renderer는 changeset 없으므로 변경되지 않아야 함 |
32 | 39 |
|
33 | 40 | **기대 결과:** |
34 | | - |
35 | 41 | - vue-pivottable: 1.1.6-beta.old → 1.1.7-beta.new (버전 증가 + 새 타임스탬프) |
36 | 42 | - plotly-renderer: 2.0.7-beta.old → 2.0.8-beta.new (버전 증가 + 새 타임스탬프) |
37 | 43 | - lazy-table-renderer: 1.1.7-beta.old → 1.1.7-beta.old (변경 없음) |
|
43 | 49 | - d29dbcb: test: 베타 타임스탬프 교체 시나리오 테스트 |
44 | 50 |
|
45 | 51 | **현재 상황:** |
46 | | - |
47 | 52 | - develop 브랜치에 이미 베타 버전들이 존재 |
48 | 53 | - main PR #247이 승인되지 않은 상태 |
49 | 54 | - 추가 changeset으로 베타 타임스탬프 교체 테스트 |
50 | 55 |
|
51 | 56 | **기대 결과:** |
52 | | - |
53 | 57 | - vue-pivottable: 1.1.6-beta.OLD → 1.1.7-beta.NEW |
54 | 58 | - plotly-renderer: 2.0.7-beta.OLD → 2.0.8-beta.NEW |
55 | 59 | - lazy-table-renderer: 1.1.7-beta.OLD (변경 없음, changeset 없음) |
56 | 60 |
|
57 | 61 | **테스트 목표:** |
58 | | - |
59 | 62 | - 베타 중복 방지 (1.1.7-beta.xxx-beta.yyy 같은 형태 방지) |
60 | 63 | - 새로운 타임스탬프로 교체 |
61 | 64 | - main PR #247 자동 업데이트 |
|
65 | 68 | ### Patch Changes |
66 | 69 |
|
67 | 70 | - 655b3b1: test: 단일 패키지 배포 시나리오 테스트 |
68 | | - |
69 | 71 | - vue-pivottable만 변경하여 1개 패키지 배포 테스트 |
70 | 72 | - main PR이 있는 상태에서 추가 변경사항 반영 테스트 |
71 | 73 |
|
|
74 | 76 | ### Patch Changes |
75 | 77 |
|
76 | 78 | - 9b0077c: fix: 워크플로우 및 버전 관리 시스템 개선 |
77 | | - |
78 | 79 | - develop 브랜치에서 항상 베타 버전 보장하는 로직 추가 |
79 | 80 | - peerDependencies를 현재 npm latest와 일치하도록 수정 |
80 | 81 | - changeset이 없어도 베타 접미사가 자동으로 추가되도록 개선 |
|
85 | 86 | ### Patch Changes |
86 | 87 |
|
87 | 88 | - fix: 버전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한 버전 범프 |
88 | | - |
89 | 89 | - develop 브랜치의 버전이 베타 접미사 없이 유지되는 문제 해결 |
90 | 90 | - npm에 이미 배포된 버전과 충돌 방지 |
91 | 91 |
|
|
94 | 94 | ### Patch Changes |
95 | 95 |
|
96 | 96 | - 5ef202b: fix: develop 브랜치를 베타 버전으로 복구 |
97 | | - |
98 | 97 | - develop 브랜치가 정식 버전으로 잘못 업데이트된 것을 수정 |
99 | 98 | - 모든 패키지를 베타 버전으로 변경 |
100 | 99 | - develop 브랜치는 항상 베타 버전을 유지해야 함 |
|
104 | 103 | ### Patch Changes |
105 | 104 |
|
106 | 105 | - 9dd7707: fix: 베타 릴리즈 프로세스 전체 개선 |
107 | | - |
108 | 106 | - 베타 버전 중복 문제 해결 (1.1.5-beta.xxx-beta.yyy → 1.1.5-beta.yyy) |
109 | 107 | - peerDependencies 베타 버전 오염 방지 |
110 | 108 | - changeset 적용 전 package.json 백업 및 peerDependencies 복원 로직 추가 |
111 | 109 | - 워크플로우에서 베타 버전이 의존성에 전파되지 않도록 개선 |
112 | 110 |
|
113 | 111 | - 9dd7707: fix: 베타 버전 중복 및 peerDependencies 오염 문제 긴급 수정 |
114 | | - |
115 | 112 | - 중복된 베타 버전 제거 (1.1.5-beta.xxx-beta.yyy → 1.1.5-beta.yyy) |
116 | 113 | - plotly-renderer의 peerDependencies를 원래 버전으로 복원 |
117 | 114 |
|
|
138 | 135 | ### Patch Changes |
139 | 136 |
|
140 | 137 | - 0c3c5b0: fix: 하위 패키지 이중 베타 버전 문제 해결 |
141 | | - |
142 | 138 | - lazy-table-renderer와 plotly-renderer의 잘못된 베타 버전 수정 |
143 | 139 | - 워크플로우 개선사항 적용을 위한 릴리스 준비 |
144 | 140 |
|
|
147 | 143 | ### Patch Changes |
148 | 144 |
|
149 | 145 | - ad33eb8: fix: 프로덕션 릴리스를 위한 버전 업데이트 |
150 | | - |
151 | 146 | - 워크플로우 개선사항 반영 |
152 | 147 | - 안정적인 배포 프로세스 확립 |
153 | 148 |
|
|
156 | 151 | ### Patch Changes |
157 | 152 |
|
158 | 153 | - dae29ab: fix: 베타와 프로덕션 릴리스 워크플로우 개선 |
159 | | - |
160 | 154 | - 베타와 프로덕션 모두 동일한 release-packages.cjs 스크립트 사용 |
161 | 155 | - changeset이 적용된 패키지만 베타 버전 생성하도록 수정 |
162 | 156 | - 프로덕션 릴리스 시 기존 릴리스 브랜치 삭제 후 재생성 |
|
167 | 161 | ### Patch Changes |
168 | 162 |
|
169 | 163 | - 34e74ef: fix: 프로덕션 배포가 release 브랜치에서 실행되도록 수정 |
170 | | - |
171 | 164 | - release.yml에서 release-packages.cjs 사용하도록 변경 |
172 | 165 | - npm 배포 전 release 브랜치로 checkout하도록 수정 |
173 | 166 | - 베타와 프로덕션 배포가 동일한 스크립트 사용 |
|
177 | 170 | ### Patch Changes |
178 | 171 |
|
179 | 172 | - c2d09a4: fix: 빌드 오류 처리 및 순서 개선 |
180 | | - |
181 | 173 | - set -e 추가로 빌드 실패 시 워크플로우 즉시 중단 |
182 | 174 | - 메인 패키지를 먼저 빌드하여 타입 선언 파일 생성 |
183 | 175 | - 하위 패키지들이 메인 패키지 타입을 참조할 수 있도록 순서 조정 |
|
187 | 179 | ### Patch Changes |
188 | 180 |
|
189 | 181 | - 224a73a: fix: 베타 릴리스 워크플로우 근본 수정 (3번째 시도) |
190 | | - |
191 | 182 | - step ID 누락 해결: 'id: version' 추가 |
192 | 183 | - 베타 중복 방지: 기존 -beta.\* 제거 후 새로 추가 |
193 | 184 | - 릴리스 순서 개선: GitHub Release → npm 퍼블리시 |
|
198 | 189 | ### Patch Changes |
199 | 190 |
|
200 | 191 | - 1075ac6: feat: 릴리즈 브랜치를 활용한 새로운 배포 워크플로우 구현 |
201 | | - |
202 | 192 | - main 브랜치 보호 규칙을 유지하면서 자동 릴리즈 가능 |
203 | 193 | - 각 릴리즈마다 release/v\* 브랜치 생성 |
204 | 194 | - 독립적인 패키지 빌드 및 배포 지원 |
|
0 commit comments